내용으로 건너뛰기
debate.or.kr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Fold/unfold all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추적:
디베이트_포맷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디베이트 포맷 ====== <blockquote> - 디베이트 포맷이란 쉽게 말해 디베이트 규칙이다. - 디베이트 포맷은 청중이 옳은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__주장을 검증하는 체계적인 과정__을 드러내기 위한 토론형식이다. - 디베이트 포맷은 '주장'에 대해 입론, 질의, 반박, 변론 등이 규정되어 있다. </blockquote> ===== 1. 디베이트 포맷이란? ===== 디베이트 포맷이란 쉽게 말해 디베이트 규칙이다. 사전에 분명한 규칙을 정해 놓고 토론해야 공정한 토론이 가능하고, 참가자들의 기량을 정확히 비교할 수 있다.((케빈 리. (2011). 대한민국 교육을 바꾼다 디베이트. 한겨례에듀)) 이 규칙과 관련된 것을 일컬어 디베이트 포맷이라고 한다. 핵심 순서로는 입안(입론), 질의(교차 질의, 교차조사), 반박, 요약, 결론이 있다. ===== 2. 디베이트 포맷의 필요성 ===== 토론에서 청중이 토론자의 주장을 옳고 그름을 판별하여 수용할지 배척할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정보가 충분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만약 이러한 정보가 부족하다면 청중은 혼란은 겪게 될 것이다. 충분한 정보교환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과정이 필수적이다. - 근거를 들어 주장함. -> 입론 - 주장에 대한 의문점을 조사. -> 질의 or 교차 질의 - 논리의 모순점을 비판 -> 반박 - 반박받은 주장에 대해 변호 -> 변론 or 재반박 - 지금까지의 토론내용을 정리하여 청중이 알기 쉽게 함 -> 요약 위처럼 주장을 검증하는 과정이 있어야 그 주장이 보편적인지? 타당한지? 건전한지? 판단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토론에는 하나의 주장만이 나오는 것이 아니므로 마지막에 지금까지의 토론 내용을 요약정리할 시간도 필요하다. 이 5가지 요소를 적절한 순서로 배열하면 토론의 형식과 절차가 되는데 이러한 형식을 일컬어 __'디베이트 포맷'__이라고 한다. 영국이나 미국에서 교육용이나 대회용으로 사용하는 모든 디베이트 포맷은 어느 것 하나 예외 없이 위의 모든 요소가 전부 포함되어 있다. 토론할 때 디베이트 포맷이 없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 토론이 혼란스러워진다. -> 주장, 반박, 변론, 질문, 답변 등 각종 성격의 발언이 혼재되기 때문이다. - 주장이 충분히 검증되지 못한다.-> 각 주장에 대해 질문과 반박과 변론의 과정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토론이 논제에서 벗어나게 된다. -> 논제와 관련 없는 새로운 주장의 유입을 막을 규칙이 없다. - 결론을 내지 못하고 흐지부지 토론이 끝난다. ===== 3. 각 순서에 대한 설명 ===== ==== 1) 입론 ==== 토론의 입론(constructive)은 교차조사(또는 질의)와 반박에 앞서 상대측의 공격에 대비해 자신의 주장과 논거를 제시함으로써 ‘튼튼한 방어용 성벽(城壁)’을 쌓는 일이다.(([[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75553&cid=42251&categoryId=51183#TABLE_OF_CONTENT1|이두원 (입론). (2014). 정책토론의 정석. 커뮤니케이션북스]])) 토론자는 입론을 심사숙고하여 전략적으로 펼침으로써 상대편이 공격할 수 있는 부분에 미리 논거와 논거 입증 자료를 충분히 제시해야 한다. 찬성 측 토론자의 입론은 논제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들에 대해서 바르게 정의하고 논의를 한정(용어정의) 짓는 것이 필수적이며, 반대 측 토론자의 입론자는 찬성 측의 개념 정의가 올바르지 못한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주장에 대한 근거는 질의나 반박 시간에도 이야기할 수 있지만 <wrap hi>새로운 주장을 펼치는 것은 입론 시간에만 가능</wrap>하다. ==== 2) 질의 ==== 상대편의 입론에 대해 반박하기 전 논리의 취약성이나 모순점에 대해 질문의 형식으로 조사하는 순서다. 질의의 순서를 정하지 않고 동시에 벌어지는 질의를 '교차 질의(Cross fire)' 또는 '교차 질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질의를 통한 조사의 기본요령은 <wrap hi>짧게 질문하고, 짧은 답변을 하도록 요청하며, ‘예·아니요’로 답변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wrap>(([[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75554&cid=42251&categoryId=51183|이두원 (교차조사). (2014). 정책토론의 정석. 커뮤니케이션북스]]))이여야 한다. 답변은 알아듣기 쉬워야 하며 추가적인 질문을 유도하도록 또 다른 궁금증이 유발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질의할 때 "국가에 의한 폭력이 합법적이기에 정당하다고 하셨는데, 조봉암 사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고 질의하기보단 "국가에 의한 폭력이 합법적이기에 정당하다고 하셨는데, 조봉암 사건도 정당한 폭력입니까?"라고 질의해야 한다. 답변 또한 마찬가지로 모호하게 해선 안 된다. 위 질의에 대해 "국가의 폭력이 전부 합법적이어서 정당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라고 답변한다면 "그럼 합법적인 조건은 무엇입니까? 어떻게 합법적이어야 정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고 새로운 질문이 나올 수밖에 없다. 이럴 때 옳은 답변은 "아니오, 조봉암 사건은 수사 과정에서 간첩행위라는 사건 조작과 편파적인 판결이 있었습니다. 합법적이지 않기에 정당한 폭력이 아닙니다."라고 해야 한다. ==== 3) 반박 ==== **반박**이란 질의를 통해 조사한 내용을 기반으로 상대방의 입론에서 나온 주장에 대하여 반박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 반박 내용은 주로 다음과 같다. - 논리적 모순 - 논제의 비 연관성 - 제시한 통계, 자료, 사례의 비판(논제와의 비 연관성, 오래된 자료, 잘못 알려진 사례 등.) - 대안의 비 효과성, 비효율성, 비윤리성 이때 <wrap em>입론에서 언급하지 않은 새로운 주장을 반박 시간에 말할 수는 없다</wrap>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 입론 시간에 하지 못한 주장을 다른 STEP 시간을 이용하려 할 수 없다는 뜻이다. 다만 상대방의 주장을 공격하기 위해 새로운 근거자료나 사례는 제시할 수 있다. 만약 반박 시간에 새로운 주장을 펼친다면 상대측에서 그 주장에 대해 또 다른 질의나 반박을 준비해야 한다. 이런 상황이면 디베이트 포맷을 적용한 의미가 사라지게 된다. 결국 새로운 주장이 계속 중첩되어 처음의 논제를 마무리를 짓지 못하게 된다. ==== 4) 변론(재반박) ==== **변론**(디베이트 포맷에 따라 '재반박'이란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이란 상대방의 반박에 대해 입론을 보강 및 정리하고 상대측이 제기한 문제에 대해 보충적인 답을 하는 것을 말한다. 변론 시에는 맨 처음 상대방이 주장했던 <wrap em>입론을 비판하면 안 된다</wrap>. 입론을 비판하는 건 오직 반박 때만 가능하며, 변론 시간은 오직 반박에 대해 방어적인 발언만 하는 시간이다. ==== 5) 요약정리 ==== 토론의 마무리를 위해 지금까지 토론에서 오고 간 내용을 압축하여 마지막 일격을 가하는 순서다. 이 순서에는 토론자는 <wrap em>새로운 근거를 제시하거나, 상대방의 주장을 반박할 수 없으며 오로지 지금까지 오갔던 내용으로만 진술</wrap>해야 한다. 이 순서는 단순히 요약하는 시간이 아니다. 요약하면서 주요한 쟁점을 밝히고 이 쟁점에서 자기 팀의 가장 큰 장점을 부각하거나 호소하고, 상대 팀의 가장 큰 허점을 설명한다.((케빈 리. (2011). 대한민국 교육을 바꾼다 디베이트. 한겨례에듀)) 다시 말해 오늘의 토론에서 청중이 자신들을 선택하는 것이 옳다는 점을 강력하게 초점을 찍어 발언하는 시간이다. ===== 4. 디베이트 포맷 종류 ===== - [[퍼블릭 포럼 디베이트]] - Public Forum Debate(PF) - 옥스포드 스타일 디베이트 - Oxford Style Debate - 교차질의식 토론 -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CEDA) - 링컨 더글라스 디베이트 - Lincoln and Douglas Debate(LD) - 팔리시 디베이트 - Policy Debate(CX) - 미국 의회식 디베이트 - Congress Debate(CD) - 칼 포퍼 디베이트 - Karl Popper Debate
디베이트_포맷.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2/11/20 12:17 저자
127.0.0.1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Fold/unfold al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