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동물원의_동물들은_행복하다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동물원의_동물들은_행복하다 [2023/10/01 13:23] – 만듦 frontend16동물원의_동물들은_행복하다 [2023/10/04 23:10] (현재) – [용어의 정의] frontend16
줄 10: 줄 10:
   * **동물원** : 살아 있는 동물을 수집하여 사육 ·번식시켜 일반에게 관람시키는 사회교육 시설.(([[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4208&cid=40942&categoryId=31931|동물원. 두산백과 두피디아]]))   * **동물원** : 살아 있는 동물을 수집하여 사육 ·번식시켜 일반에게 관람시키는 사회교육 시설.(([[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4208&cid=40942&categoryId=31931|동물원. 두산백과 두피디아]]))
   * **행복** : 행복(幸福, 영어: happiness)은 희망을 그리는 상태에서의 좋은 감정으로 심리적인 상태 및 이성적 경지 또는 자신이 원하는 욕구와 욕망이 충족되어 만족하거나 즐거움과 여유로움을 느끼는 상태,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안심해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태는 주관적일 수 있고 객관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행복은 철학적으로 대단히 복잡하고 엄밀하며 금욕적인 삶을 행복으로 보기도 한다. 한편 광의로 해석해, 사람뿐만 아니라 여러 생물에도 이에 상응하는 상태나 행동, 과정이 있을 수도 있다. 생물의 행복감에는 만족감의 요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나 인간의 경우 만족감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https://ko.wikipedia.org/wiki/%ED%96%89%EB%B3%B5|행복. 위키백과]]))   * **행복** : 행복(幸福, 영어: happiness)은 희망을 그리는 상태에서의 좋은 감정으로 심리적인 상태 및 이성적 경지 또는 자신이 원하는 욕구와 욕망이 충족되어 만족하거나 즐거움과 여유로움을 느끼는 상태,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안심해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태는 주관적일 수 있고 객관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행복은 철학적으로 대단히 복잡하고 엄밀하며 금욕적인 삶을 행복으로 보기도 한다. 한편 광의로 해석해, 사람뿐만 아니라 여러 생물에도 이에 상응하는 상태나 행동, 과정이 있을 수도 있다. 생물의 행복감에는 만족감의 요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나 인간의 경우 만족감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https://ko.wikipedia.org/wiki/%ED%96%89%EB%B3%B5|행복. 위키백과]]))
-  * **삶의 질** : 대량소비사회가 경제의 정보화와 서비스화에 따라 사람들의 관심은 양에서 질로 이행한다. 주민들의 생활이 향상됨에 따라 행정 서비스도 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도록 서비스 시책을 해야한다. 종래의 사회지표(([[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20725&ref=y|고명복. (2000). 사회학사전:사회지표. 사회문화연구소]]))(([[https://www.index.go.kr/unity/potal/indicator/LifeIndicator.do?cdNo=220|대한민국 국민 삶의 질 지표. 국가지표체계]]))가 사회현실의 객관적 측정에 한정된다는 점에 반성이 가해지고 사람들의 주관적 지수를 가미하는 일이 필요해졌다. 삶의 질이란, 만족감, 안정감, 행복감 등의 주관적 평가의식을 규정하는 복합적인 요인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요인들 중 하나는 생활환경이 되기도 하지만, **환경 요인에 관련된 의식적 요인과 물적 요인의 복합체를 삶의 질이라고 보아야 한다**.(([[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20749&cid=42121&categoryId=42121|고영복. (2000). 사회학사전:삶의 질. 사회학사전]]))+  * **삶의 질** : 대량소비사회가 경제의 정보화와 서비스화에 따라 사람들의 관심은 양에서 질로 이행한다. 주민들의 생활이 향상됨에 따라 행정 서비스도 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도록 서비스 시책을 해야한다. 종래의 사회지표(([[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20725&ref=y|고명복. (2000). 사회학사전:사회지표. 사회문화연구소]])) (([[https://www.index.go.kr/unity/potal/indicator/LifeIndicator.do?cdNo=220|대한민국 국민 삶의 질 지표. 국가지표체계]]))가 사회현실의 객관적 측정에 한정된다는 점에 반성이 가해지고 사람들의 주관적 지수를 가미하는 일이 필요해졌다. 삶의 질이란, 만족감, 안정감, 행복감 등의 주관적 평가의식을 규정하는 복합적인 요인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요인들 중 하나는 생활환경이 되기도 하지만, **환경 요인에 관련된 의식적 요인과 물적 요인의 복합체를 삶의 질이라고 보아야 한다**.(([[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20749&cid=42121&categoryId=42121|고영복. (2000). 사회학사전:삶의 질. 사회학사전]]))
  
  
줄 43: 줄 43:
  
  
-==== 🔴 반대 2 : 수명을 포함한 동물복지지표에서 동물은 불행하다 ==== +==== 🔴 반대 2 : 동물복지지표 상 동물은 동물복지에 소흘하다 ==== 
-><color #c4554d>"동물 수명을 포함하여 다른 동물복지지표를 보더라도 동물은 지 않다."</color>+><color #c4554d>"동물 수명을 포함하여 다른 동물복지지표를 보더라도 동물은 동물지에 적극적이지 않다. 따라서 동물들은 불행하다."</color>
 > >
 ><color #c4554d>동물원의 동물이 행복한지 알기 위해 단순하게 수명뿐만이 아니라 다각도에서 동물복지지수를 고려해야 한다. 2021년 국내에서 동물복지 전문가 2명과 대학생들이 149곳 동물사 379개소를 분석한 보고서에서는 동물복지를 17 지표로 세분화하여 조사했다. 지표로는 먹이, 위생, 보온시설뿐만 아니라 소음, 풍부화 구조물 등 동물의 입장에 맞추어 조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처참하였다. 동물이 제 수명을 살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환경이 갖춰진 곳은 단 27개소(7%)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0649|이다솔. (2021). 동물원 사육 동물 제 수명 못산다…조사대상 사육장 7%만 천수누려. 동아사이언스]]))</color> ><color #c4554d>동물원의 동물이 행복한지 알기 위해 단순하게 수명뿐만이 아니라 다각도에서 동물복지지수를 고려해야 한다. 2021년 국내에서 동물복지 전문가 2명과 대학생들이 149곳 동물사 379개소를 분석한 보고서에서는 동물복지를 17 지표로 세분화하여 조사했다. 지표로는 먹이, 위생, 보온시설뿐만 아니라 소음, 풍부화 구조물 등 동물의 입장에 맞추어 조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처참하였다. 동물이 제 수명을 살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환경이 갖춰진 곳은 단 27개소(7%)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0649|이다솔. (2021). 동물원 사육 동물 제 수명 못산다…조사대상 사육장 7%만 천수누려. 동아사이언스]]))</color>
동물원의_동물들은_행복하다.169613419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0/01 13:23 저자 frontend16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