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에게도_권리가_있다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동물에게도_권리가_있다 [2022/11/20 13:51] – [동물에게도 권리가 있다] 송실장 | 동물에게도_권리가_있다 [2023/09/22 22:37] (현재) – [더 읽어보기] frontend16 | ||
---|---|---|---|
줄 3: | 줄 3: | ||
< | < | ||
< | < | ||
- | <img src=" | + | <img src=" |
- | style=" | + | |
</ | </ | ||
</ | </ | ||
줄 14: | 줄 13: | ||
===== 디베이트 케이스 ===== | ===== 디베이트 케이스 ===== | ||
- | ==== 🔵 찬성-1 ==== | + | ==== 🔵 찬성 1 : 우리 인간에게 동물로서 권리가 있다면, 모든 동물에게도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옳다 |
- | > <color #487ca5> **//” 찰스 다윈의 진화이론 이후 우리는 인간과 다른 동물과의 과학적 연속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인간인 우리 자신에게 동물로서 권리가 있다면, 모든 동물에게도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이치로 보아 맞는 말이다 | + | > <color #487ca5> **//"찰스 다윈의 진화이론 이후 우리는 인간과 다른 동물과의 과학적 연속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 |
+ | > | ||
+ | > <color #487ca5>인간인 우리 자신에게 동물로서 권리가 있다면, 모든 동물에게도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이치로 보아 맞는 말이다.</ | ||
> | > | ||
> <color # | > <color # | ||
줄 22: | 줄 23: | ||
- | ==== 🔴 반대-1 ==== | + | ==== 🔴 반대 1 : 인간은 거의 모든 동물을 이기고 지배할 수 있다 |
- | > <color # | + | > <color # |
+ | > | ||
+ | >< | ||
> | > | ||
> <color # | > <color # | ||
줄 30: | 줄 33: | ||
- | ==== 🔵 찬성-2 ==== | + | ==== 🔵 찬성 2 : 인지능력은 권리를 받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아니다 |
- | > <color #487ca5> **// ” 어떤 존재가 권리를 부여받기 위해 반드시 의식이 있거나 인지능력이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태어나지 못한 아이나 혼수상태의 아이도 권리, 특히 생존의 권리가 있다. “권리”란 우리가 부여하기로 한 어떤 것이다”// | + | > <color #487ca5> **//"어떤 존재가 권리를 부여받기 위해 반드시 의식이 있거나 인지능력이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태어나지 못한 아이나 혼수상태의 아이도 권리, 특히 생존의 권리가 있다. “권리”란 우리가 부여하기로 한 어떤 것이다"// |
> | > | ||
> <color # | > <color # | ||
줄 39: | 줄 42: | ||
- | ==== 🔴 반대-2 ==== | + | ==== 🔴 반대 2 : 동물의 의식은 인간보다는 기계에 더 가깝다 |
- | > <color #c4554d> **// ” 동물의 의식은 인간이 가진 의식과 같은 종류가 아니다. 동물은 사람과 비슷하기보다는 오히려 기계적 행동을 하는 모습에 더 가깝다. | + | > <color #c4554d> **// "동물의 의식은 인간이 가진 의식과 같은 종류가 아니다. 동물은 사람과 비슷하기보다는 오히려 기계적 행동을 하는 모습에 더 가깝다."//** </ |
> | > | ||
> <color #c4554d> 동물은 이성적 사고에 의해서가 아니라 본능적, 반사적 모습으로 행동한다. 그러므로 동물들은 정당함이라거나 공정함, 책임, 그런 의무를 이행하지도 이해하지도 못한다. 이런 생명체에게 인간의 감정과 비교한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탈거미의 어미는 자기 몸을 갓 태어난 새끼들에게 먹이로 주는 모성애 강한 동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절지동물이 인간의 잣대로 생각하여 모성애가 강하다고 판단하는 게 이성적인가? | > <color #c4554d> 동물은 이성적 사고에 의해서가 아니라 본능적, 반사적 모습으로 행동한다. 그러므로 동물들은 정당함이라거나 공정함, 책임, 그런 의무를 이행하지도 이해하지도 못한다. 이런 생명체에게 인간의 감정과 비교한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탈거미의 어미는 자기 몸을 갓 태어난 새끼들에게 먹이로 주는 모성애 강한 동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절지동물이 인간의 잣대로 생각하여 모성애가 강하다고 판단하는 게 이성적인가? | ||
줄 49: | 줄 52: | ||
===== 더 읽어보기 ===== | ===== 더 읽어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ttps://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동물에게도_권리가_있다.166891990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2/11/20 13:51 저자 송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