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동물실험을_금지해야_한다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동물실험을_금지해야_한다 [2023/09/22 21:11] frontend16동물실험을_금지해야_한다 [2023/10/01 14:08] (현재) – [🔵 찬성 2 : 동물 연구의 성과, 필요성, 효율성은 과장되었다] frontend16
줄 43: 줄 43:
 ><color #487ca5>사실 생체해부는 잔인할 뿐 아니라 비용낭비적이고 비효율적이며, 성공률도 그리 높지 않다. 전세계에서 연간 1억 마리의 동물이 믿을 만한 결과도 없는 과학연구의 미명 아래 살해되고 있다.</color> ><color #487ca5>사실 생체해부는 잔인할 뿐 아니라 비용낭비적이고 비효율적이며, 성공률도 그리 높지 않다. 전세계에서 연간 1억 마리의 동물이 믿을 만한 결과도 없는 과학연구의 미명 아래 살해되고 있다.</color>
 > >
-><color #487ca5>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 질병은 1.16%에 불과다고 알려져 있으며,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조사로 동물연구에서 효과적이고 안정성이 입증된 잠재적인 약물중에서 92 %는 병원에서 통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m.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3374179595|문광주. (2017). 동물실험으로 만들어진 약물, 92 %가 임상 시험 통과 못해. 에코미디어]]))</color>+><color #487ca5>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 질병은 1.16%에 불과다고 알려져 있으며,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조사로 동물연구에서 효과적이고 안정성이 입증된 잠재적인 약물중에서 92 %는 병원에서 통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m.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3374179595|문광주. (2017). 동물실험으로 만들어진 약물, 92 %가 임상 시험 통과 못해. 에코미디어]]))</color>
 > >
 ><color #487ca5>학술지 네이처 2014년 3월 27일자에는 미국 ALS치료제개발연구소 스티브 페린 박사의 기고문에서는 동물실험에서 수명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온 약물이 100가지가 넘는다. 그리고 이 가운데 8종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까지 들어갔지만 모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402|강석기. (2014). 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color> ><color #487ca5>학술지 네이처 2014년 3월 27일자에는 미국 ALS치료제개발연구소 스티브 페린 박사의 기고문에서는 동물실험에서 수명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온 약물이 100가지가 넘는다. 그리고 이 가운데 8종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까지 들어갔지만 모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402|강석기. (2014). 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color>
동물실험을_금지해야_한다.169538466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9/22 21:11 저자 frontend16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