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동물실험을_금지해야_한다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동물실험을_금지해야_한다 [2023/09/22 20:49] – 만듦 frontend16동물실험을_금지해야_한다 [2023/10/01 14:08] (현재) – [🔵 찬성 2 : 동물 연구의 성과, 필요성, 효율성은 과장되었다] frontend16
줄 16: 줄 16:
  
 ===== 디베이트 케이스 ===== ===== 디베이트 케이스 =====
-==== 🔵 찬성 1 - "동물실험은 인간의 이익을 위해 동물을 이용하고 고문하는 잘못된 행위====+==== 🔵 찬성 1 동물실험은 인간을 위해 동물을 고문하는 잘못된 행위 ====
 ><color #487ca5>**//"동물실험은 오직 인간의 이익을 위해 아무 죄 없는 동물을 이기적으로 이용하고 고문하는 행위며, 이것은 도의상 잘못된 행위다."//**</color> ><color #487ca5>**//"동물실험은 오직 인간의 이익을 위해 아무 죄 없는 동물을 이기적으로 이용하고 고문하는 행위며, 이것은 도의상 잘못된 행위다."//**</color>
 > >
줄 28: 줄 28:
  
  
-==== 🔴 반대 1 - "인간의 이익을 위해 자연환경을 이용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 🔴 반대 1 인간을 위해 자연환경을 이용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
 ><color #c4554d>**//"사실 인간이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자연환경을 연구, 이용 개발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다."//**</color> ><color #c4554d>**//"사실 인간이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자연환경을 연구, 이용 개발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다."//**</color>
 > >
줄 38: 줄 38:
  
  
-==== 🔵 찬성 2 - "동물 연구의 성과, 필요성, 효율성은 과장되었다====+==== 🔵 찬성 2 동물 연구의 성과, 필요성, 효율성은 과장되었다 ====
 ><color #487ca5>**//"동물에 관한 연구의 성과, 필요성, 효율성은 사실 상당히 과장되어 왔다."//**</color> ><color #487ca5>**//"동물에 관한 연구의 성과, 필요성, 효율성은 사실 상당히 과장되어 왔다."//**</color>
 > >
 ><color #487ca5>사실 생체해부는 잔인할 뿐 아니라 비용낭비적이고 비효율적이며, 성공률도 그리 높지 않다. 전세계에서 연간 1억 마리의 동물이 믿을 만한 결과도 없는 과학연구의 미명 아래 살해되고 있다.</color> ><color #487ca5>사실 생체해부는 잔인할 뿐 아니라 비용낭비적이고 비효율적이며, 성공률도 그리 높지 않다. 전세계에서 연간 1억 마리의 동물이 믿을 만한 결과도 없는 과학연구의 미명 아래 살해되고 있다.</color>
 > >
-><color #487ca5>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 질병은 1.16%에 불과다고 알려져 있으며,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조사로 동물연구에서 효과적이고 안정성이 입증된 잠재적인 약물중에서 92 %는 병원에서 통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m.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3374179595|문광주. (2017). 동물실험으로 만들어진 약물, 92 %가 임상 시험 통과 못해. 에코미디어]]))</color>+><color #487ca5>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 질병은 1.16%에 불과다고 알려져 있으며,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조사로 동물연구에서 효과적이고 안정성이 입증된 잠재적인 약물중에서 92 %는 병원에서 통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m.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3374179595|문광주. (2017). 동물실험으로 만들어진 약물, 92 %가 임상 시험 통과 못해. 에코미디어]]))</color>
 > >
 ><color #487ca5>학술지 네이처 2014년 3월 27일자에는 미국 ALS치료제개발연구소 스티브 페린 박사의 기고문에서는 동물실험에서 수명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온 약물이 100가지가 넘는다. 그리고 이 가운데 8종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까지 들어갔지만 모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402|강석기. (2014). 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color> ><color #487ca5>학술지 네이처 2014년 3월 27일자에는 미국 ALS치료제개발연구소 스티브 페린 박사의 기고문에서는 동물실험에서 수명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온 약물이 100가지가 넘는다. 그리고 이 가운데 8종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까지 들어갔지만 모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402|강석기. (2014). 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color>
줄 52: 줄 52:
  
  
-==== 🔴 반대 2 - "동물실험은 생명을 구하는 데에 필수적이며, 역사적으로도 의학적이고 과학적인 발전을 이룩해 왔다." ====+==== 🔴 반대 2 동물실험은 생명을 구하는 데에 필수적이며, 역사적으로도 발전을 이룩해 왔다 ====
 ><color #c4554d>**//"동물실험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다. 동물실험과 조사연구는 역사적으로 다른 방법으로는 도저히 해낼 수 없는 수없이 많은 의학적, 과학적 돌파구를 이룩해 왔다."//**</color> ><color #c4554d>**//"동물실험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다. 동물실험과 조사연구는 역사적으로 다른 방법으로는 도저히 해낼 수 없는 수없이 많은 의학적, 과학적 돌파구를 이룩해 왔다."//**</color>
 > >
줄 62: 줄 62:
  
  
-==== 🔵 찬성 3 - "인간적이고 효율적인 생체해부에 대한 대안이 있다." ==== +==== 🔵 찬성 3 인간적이고 효율적인 생체해부에 대한 대안이 있다 ==== 
-> **//"잔인한 동물실험과 대비되어 더욱 인간적이고 효율적인 생체해부에 대한 대안이 존재한다"//**+> <color #487ca5>**//"잔인한 동물실험과 대비되어 더욱 인간적이고 효율적인 생체해부에 대한 대안이 존재한다"//**</color>
  
-> 소아마비 백신 연구의 경우 잔인한 동물실험 없이 사람의 복부와 원숭이로부터 얻은 비신경조직을 이용하여 소아바비 백신을 만들었다.(([[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86%8C%EC%95%84%EB%A7%88%EB%B9%84%EA%B0%80-%EC%82%AC%EB%9D%BC%EC%A7%80%EA%B8%B0%EA%B9%8C%EC%A7%80/?cat=28|예병일. (2007). 소아마비가 사라지기까지. 더 사이언스 타임즈]]))+> <color #487ca5>소아마비 백신 연구의 경우 잔인한 동물실험 없이 사람의 복부와 원숭이로부터 얻은 비신경조직을 이용하여 소아바비 백신을 만들었다.(([[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86%8C%EC%95%84%EB%A7%88%EB%B9%84%EA%B0%80-%EC%82%AC%EB%9D%BC%EC%A7%80%EA%B8%B0%EA%B9%8C%EC%A7%80/?cat=28|예병일. (2007). 소아마비가 사라지기까지. 더 사이언스 타임즈]]))</color>
  
-> 최근 개발되고 있는 장기칩의 경우 사람의 세포로 만들었기 때문에 신약의 독성을 평가하거나 각종 질환을 연구하는데 동물실험보다 더 유용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dOW8uMv50ww|동물실험 대체-장기칩. YTN 사이언스 투데이]]))+> <color #487ca5>최근 개발되고 있는 장기칩의 경우 사람의 세포로 만들었기 때문에 신약의 독성을 평가하거나 각종 질환을 연구하는데 동물실험보다 더 유용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dOW8uMv50ww|동물실험 대체-장기칩. YTN 사이언스 투데이]]))</color>
  
-> 오르가노이드(Organoid)’라는 줄기세포로부터 배양된 작은 인공피부를 사용해 화장품이나 약품에 대한 장기 반응을 실험하거나 동물의 반응을 본뜬 컴퓨터 모델링을 활용하는 방법들이 있다.(([[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8F%99%EB%AC%BC%EC%8B%A4%ED%97%98-%EC%A4%84%EC%9D%B4%EC%9E%90%EC%98%A4%EA%B0%80%EB%85%B8%EC%9D%B4%EB%93%9C%EC%97%90%EC%84%9C-%ED%95%B4%EB%B2%95-%EC%B0%BE%EB%8A%94-%EC%97%85%EA%B3%84/|]]))+> <color #487ca5>오르가노이드(Organoid)’라는 줄기세포로부터 배양된 작은 인공피부를 사용해 화장품이나 약품에 대한 장기 반응을 실험하거나 동물의 반응을 본뜬 컴퓨터 모델링을 활용하는 방법들이 있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512150700017?section=search|조현영. (2023). '동물실험 줄이자'…오가노이드에서 해법 찾는 업계. 연합뉴스]]))</color>
  
-> 질병과 약물치료에 대한 ‘톡스 캐스트’라는 AI를 접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또한 생체해부의 대안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12]+> <color #487ca5>질병과 약물치료에 대한 ‘톡스 캐스트’라는 AI를 접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또한 생체해부의 대안책으로 주목받고 있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927/97612157/1|김민수. (2019). 가습기 살균제 흡입독성 실험 AI 활용해 동물 희생 줄인다. 동아사이언스]]))</color>
 > >
  
  
 +==== 🔴 반대 3 : 질병에 대한 연구를 위해 동물을 대신할 수 있는 대안이 없다 ====
 +> <color #c4554d>**//"복잡한 면역감시기구, 신경학상, 유전학상의 질병에 대한 연구를 위해 동물을 대신할 수 있는 대안이 없다."//**</color>
 +
 +> <color #c4554d>컴퓨터 시뮬레이션 역시 우리가 모두 이해하고 있는 단순한 조건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 보다 복잡한 경우, 즉 에이즈나 암, 근육영양 장애 같은 질병에 대한 많은 이해를 필요로 할 경우 우리는 동물이나 인간을 대상으로 실험할 수밖에 없다.</color> 
 +
 +> <color #c4554d>검증되지 않은 약물에 대해 실험대상으로 인간이 기니피그를 대신할 수는 없다.</color>
  
-===== 더 읽어보기 ===== 
  
 +
 +===== 더 읽어보기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44042&cid=58583&categoryId=58586#TABLE_OF_CONTENT7|인간을 위한 동물실험은 바람직한가?]]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4818&cid=58939&categoryId=58951|동물실험은 윤리적으로 정당한가?]]
 +  - [[https://www.goeonair.com/news/article.html?no=24917|동물 실험, 해야 하는가]]
 +  -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6152|인간을 위한 동물실험, 정말 옳은 것일까]]
 +  - [[https://namu.wiki/w/%EB%8F%99%EB%AC%BC%EC%8B%A4%ED%97%98|동물실험(나무위키)]]
 +  - [[https://www.ibric.org/bric/trend/bio-series.do?mode=series_view&newsArticleNo=8841806&articleNo=8882737&beforeMode=latest_list|동물실험에 대한 의회 차원의 규제가 시행될까]]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동물실험을_금지해야_한다.169538335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9/22 20:49 저자 frontend16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